토목구조기술사 134-4-5
이 글에 제시된 풀이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안내드립니다. 오류를 발견하실 시,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복합 대칭 트러스에서 특정 부재의 부재력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마름모 모양의 구조를 축력을 받는 축 부재 하나로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양창현의 구조역학 연습문제에 있는 내용입니다. 처음 봤을 때는 신선했지만, 기술사/기술고시에 몇 번 등장하여 이제는 쉬워진 문제입니다.
DEFG 구조를 DE 부재로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DEFG 구조만 따로 떼어보면 좌우 대칭입니다. D와 E에 수직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구조는 위아래로 이동하거나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D와 E에는 수평 방향의 힘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DE를 축 부재로 모델링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이제 모델링한 구조에서 DE 축력을 구하면 됩니다. 대칭 구조이므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단면법을 사용했습니다.
DE 축력을 구한 후, 다시 DEFG 구조로 치환하여 힘의 평형으로 DG 부재력을 구하면 됩니다. 여기서도 대칭 구조의 특성을 이용해 방정식의 개수를 줄였습니다.
★★☆☆☆ (난이도 5점 만점 중 2점)
앞서 언급했듯이, 이제는 쉬운 문제입니다.
1) 처짐: 대칭 구조에서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처짐이 동일하게 발생합니다. 구조물의 가운데 부분(중앙 축)에서 처짐각은 0이 되며, 처짐은 대칭입니다.
2) SFD (전단력도): 대칭 구조에서 SFD는 역대칭으로 나타납니다. 좌측과 우측의 전단력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입니다.
3) BMD (굽힘모멘트도): BMD는 좌우 대칭입니다. 하중이 대칭적으로 분포하므로, 좌우에서 동일한 모멘트가 발생합니다.
1) 처짐: 축을 기준으로 역대칭 처짐이 발생합니다. 즉, 한쪽에서 하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면, 반대쪽은 위로 처집니다. 중간 축에서 처짐은 0이지만, 좌우 처짐 방향은 반대입니다.
2)SFD (전단력도): 역대칭 구조에서 SFD는 대칭입니다. 좌우의 전단력이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며, 크기도 동일합니다.
3) BMD (굽힘모멘트도): BMD는 역대칭입니다. 하중이 역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쪽에서는 모멘트가 위로 작용하고, 반대쪽에서는 아래로 작용합니다.
대칭과 역대칭 구조를 사용하면 반복 계산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첩의 원리를 활용해 새로운 관점에서 간단한 계산을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참고하면 좋을 자료:
https://ocw.snu.ac.kr/sites/default/files/NOTE/6주차_Part%204_4_Modeling%20option.pdf
안녕하세요, 토목인의 슬기로운 라이브러리 토슬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지방직 9급 응용역학개론 기출문제와 해설을 정리했습니다.시험을 준비하는…
안녕하세요, 토목인의 슬기로운 라이브러리 토슬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국가직 9급 응용역학개론 기출문제와 해설을 정리했습니다.시험을 준비하는…
안녕하세요, 토목인의 슬기로운 라이브러리 토슬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지방직 9급 응용역학개론 기출문제와 해설을 정리했습니다.시험을 준비하는…
안녕하세요, 토목인의 슬기로운 라이브러리 토슬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국가직 9급 응용역학개론 기출문제와 해설을 정리했습니다.시험을 준비하는…
일반적으로 토목을 전공한다고 하면 이렇게 생각한다."토목? 그거 현장에서 공사하는 거 아니야?"솔직히 나도 잘 몰랐다. 막연히…
안녕하세요, 토목인의 슬기로운 라이브러리 토슬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0년 지방직 9급 응용역학개론 기출문제와 해설을 정리했습니다.시험을 준비하는…
This website uses cookies.